Financial Market2008. 10. 6. 00:15

지금 막 인터넷 조선일보에 올라온 기사를 봤다. 어제 자정 즈음에 게재된 기사인데 미국발 금융위기에 한중일 3국이 공동으로 대응하자는 것이 그 핵심이다.

조선일보 김기훈 기자(khkim@chosun.com)와 정혜전 기자(cooljjun@chosun.com)의 기사에 따르면 "한국·중국·일본 등 3국은 미국발(發) 전세계 금융위기에 공동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외환보유고를 함께 출연해 800억달러 규모의 ‘아시아 공동기금’을 만드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 정부의 재정지출을 확대함으로써 3국 공동의 경기부양책을 마련하기로 하여 우리나라의 경우는 내년도 예산안을 수정검토하고 있다는데, 어정쩡한 경기부양책이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중·일은 먼저 자국의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달러 유동성(자금) 부족으로 도산하는 일이 없도록 상호 협조한다는 원칙하에, 아시아 공동기금을 만드는 방안을 조속히 매듭지을 예정이다.

한·중·일은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같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통화스왑(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의 달러 외환보유액을 빌리는 것) 방식으로 서로의 외환보유액을 일부 공유하는 치앙마이구상(CMI)을 마련해 두고 있으나, 한 걸음 더 나아가 800억달러 규모의 공동기금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이러한 공동기금조성에 대한 초기 논의가 있었으나 출자분에 대한 각국의 의견이 달라 진전되지 못한 상태였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발 금융위기의 여파가 워낙 크기 때문에 3개국이 공동기금을 조기에 마련하는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기금에는 아세안 국가들도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공동기금이 마련되면 한국이 사용할 수 있는 외환보유액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다.

한·중·일 3국은 이와 함께 전세계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지출을 탄력적으로 운용, 내수경기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한·중·일은 주요 수출국인 미국이 경기침체로 수출둔화가 예상되는데다 미국발 경기침체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수출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경기도 함께 가라앉을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아시아 경제의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국이 내수진작책을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 배국환 기획재정부 2차관은 지난 1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내년 예산안 편성의 막바지에 미국 금융위기가 발생해 이 부분이 충분히 감안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미국 금융위기 사태의 변화 추이를 탄력적으로 반영해 상황변화가 있다면 예산안을 수정하는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3개국이 공동으로 기금을 마련하고 금융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한다면 10년전과 같은 IMF 사태가 오지 않을 수는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800억 달러의 기금을 어떤 비율로 출자하느냐와 이에 대한 운용을 어떻게 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 같다. 더군다나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가 2000억 달러에 지나지 않는 상황이라면 800억 달러의 1/3인 267억 달러만 해도 이미 외환보유액의 13%를 초과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기금 적립도 조심해야될 것 같다.

그래도 최소한 앉아서 당하지 않겠다는 자세로 3개국이 공동으로 대비한다는 점은 안심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닌가 싶다.
Posted by Chanwoo™
소소한 Issue2008. 10. 5. 23:39

유가가 싸디싼 베네수엘라에서 나온 얘기랜다. 유가가 갤런당 12센트 (1갤런 = 3.78리터), 즉 1리터랑 3.2원 (우리나라는 1리터에 1700~1800원대) 인데, 그런 곳에서도 기름 많이 먹는 노후차량을 국가에 반납하면 새차를 주겠다고 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차베스 대통령은 4일 "휘발유를 너무 많이" 소비하는 저연비 노후차량을 반납하는 국민에게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새 차량을 나눠주는 사업을 내년부터 시행하겠다고 말했다."랜다.

기사를 자세히 읽어보니 어폐가 있긴 하다. 자동변속기 기준인 경우 1600cc급 (포르테 정도)의 차량이 휘발유 1리터 당 14km 내외를 주행한다. 그런데 천연가스 차량의 경우 상대적인 엔진 효율성이 낮아 천연가스 1리터 당 7~8km를 겨우 간다. 이건 LPG 차량도 마찬가지다. 물론 휘발유 차량 대비 출력도 낮다.

그런데 이렇게 천연가스 차량을 나눠주겠다는건 아무래도 현재 미개발 천연가스전 개발 등의 추가적인 사업과 연관이 있는 것 같다. 어차피 개발해야할 가스전이다 보면 수출 이외의 다른 사용처를 찾아보는 것도 방법.

하지만 헌차 받아서 새차 주는건 좀 대단하다. 우리나라에서 이런다고 하면 재정파탄 낼 일 있냐고 한바탕 들고 일어나겠지? 물론 일반 국민이야 좋아할지 모르지만, 국회에서는 야당을 중심으로 한바탕 시끄러울 듯 ㅋ
Posted by Chanwoo™
Interests/Cars2008. 10. 4. 23:29

이 중요한 이벤트를 회사일 땜에 놓쳤다.

BMW의 F1 머신이 F1 한국 그랑프리 개최 확정 등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서울 삼성동, 그리고 내일 광주 금남로에서 각각 드라이빙을 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이미 추석때부터 이 소식을 접하고 이제나, 저제나 하고 있었는데 못 갔다. ㅠ.ㅠ


언제 또 볼 수 있을지 모르는 정말 초대형 이벤트인데. 거기다 용인에서만 달리던 레이싱 머신들도 서울에서 보였다는데.

아쉽지만, 뉴스나 인터넷 기사에 올라온 사진들 보면서 대리만족해야겠다.

다음엔 볼 수 있을까? 2010년 F1 한국 그랑프리 보러 가야겠다.
Posted by Chanwoo™
Interests/Golf2008. 10. 3. 23:39

표준이란 말이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제대로 잘 맞았을때의 비거리라고 보면 될 것 같다 ^^



다음은 클럽별 평균 로프트와 그에 따르는 비거리의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 클럽별 로프트와 비거리의 차이 ]

구분 클럽NO. 길이(inch) 로프트 라이(˚) 표준비거리 비고
우드(Wood) 1 44 10˚ 57˚ 220~230yard 드라이버
2 43.5 12˚ 57.5˚ 210~220yard 브러쉬
3 43 14˚ 57.5˚ 200~210yard 스푼
4 42.5 17˚ 58˚ 190~200yard 버피
5 42 21˚ 50˚ 170~190yard 클리크
아이언(Iron) 1 40 15˚ 57˚ 190~200yard 롱아이언
2 39.5 17˚ 57.5˚ 180~190yard
3 39 20˚ 58˚ 170~180yard
4 38.5 23˚ 58.5˚ 160~170yard
5 38 26˚ 59˚ 150~160yard 미들아이언
6 37.5 30˚ 60˚ 140~150yard
7 37 34˚ 61˚ 130~140yard
8 36.5 38˚ 62˚ 120~130yard 숏아이언
9 36 42˚ 63˚ 110~120yard
웨지(Wedge) PW 35.5 46˚ 63.5˚ 80~100yard 피칭웨지
AW 35 51˚ 63.5˚ 80~90yard 어프로치웨지
SW 35 56˚ 63.5˚ 70~80yard 샌드웨지
LW 35 60˚ 63.5˚ 60~70yard 로브웨지
퍼터(Putter) - 34 5~6˚ - - -


[ 체격에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할 때의 기준표 ]

키 (cm) 길이 (inch) 로프트 (º) 샤프트 경도 무게 (g) 스윙 웨이트 라이 (º)
155 이하 41~42 12   356~367 C5~C5 49
156~160 41~42 12~10 L~A 360~368 C8~C2 48~53
161~165 42~42.5 11~9 A~R 360~375 C9~D4 50~54
166~170 42.5~43 11~9 A~S 360~375 D0~D5 51~55
171~175 43 10~8 R~S 368~383 D2~D5 52~56
176~180 43.5 10~8 S~X 375~392 D3~D9 53~57

 

[ 로프트 경도와 그에 적합한 타입 ]

기호 명칭 의미 적합한 타입
L 레이디스  부드럽다  여성과 시니어, 힘이 약한 남성에게 적합하다
A 에버리지  약간 부드럽다  힘이 약한 남성, 힘이 강한 여성에게 적합하다
R 레귤러  보통  일반 남성, 롱 히터의 여성에게 적합하다
S 스티프  약간 단단하다  강한 남성에게 적합하다
X 엑스트러 스티프  단단하다  롱 히터의 남성, 프로에게 적합하다

최근에 골프에 빠져 있다보니 ㅡ.ㅡ;;

어여 잘 치고 싶다. 1달여밖에 안 됐는데, 너무 급하다는건 알고 있지만 욕심은 어쩔 수 없다 ㅋㅋ
Posted by Chanwoo™
Interests/Military2008. 10. 2. 15:41

우리나라가 미국의 무기를 구매하는데에 조금 더 편할 수 있는, 조금 더 신속할 수 있는 "미국산 무기 및 군사장비구매" 지위가 최상급인 'NATO + 3'로 격상됐다.

지금까지 수없이 많은 미국산 무기를 구매해왔지만, 구매 규모 대비 지위가 낮아 도입에 시일이 걸리고 그러한 시일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싼 무기 구매쪽으로 선회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드디어 최상급이 됐다.

미 의회 심의 기간이 50일에서 15일로 단축되고, 심의대상 구매금액도 1400만달러 이상에서 2500만달러 이상으로 바뀌고.

추후 글로벌호크 등 무인정찰기 도입 시에도 심의기간 단축에 따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며 차기 FX 사업의 목표가 될 F35 Lightning II 나 F22 Raptor 같은 녀석들의 구매 희망시에도 조금은 더 수월해질 듯.

하지만 "무기 구매"라는 점을 보면 국군의 대미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점이 항상 지적되었는데 그 의존도 또한 더 높아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다.

여튼, 나쁘지 않은 소식임에는 틀림없다.
Posted by Chanwoo™
Interests/Mobile World2008. 10. 1. 15:29

삼성이 정말 신형 폰 출시에 러시가 들어왔나보다. '스타일보고서'라는 닉네임의 듀얼LCD 신형폰이 출시됐다.

내외부 LCD 모두 2.2인치, 거기다 외장 LCD는 터치. 외장LCD를 통해 DMB 시청, MP3 재생, 사진 촬영 등이 전부 가능하다 하니, 굳이 폴더를 열 필요가 없을 수도 있겠다.

실물을 보러 또 함 가봐야겠다 ㅎㅎ

한동안 잠잠하던 폰 지름의 충동이 조금씩 몰려온다 ㅡ.ㅡ;;

햅틱2, 서태지폰, 스타일보고서 등등. 돈은 없는데 눈에 밟히는 것들은 점점 많아지는구나 ㅡ.ㅡ;;;;;;
Posted by Chanwoo™